맨위로가기

신봉동 (용인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고려 시대 용구현과 조선 시대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신리와 서봉동을 합쳐 신봉리가 되었다. 2001년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면서 신봉동이 되었고, 2005년 수지구청 승격과 함께 행정동 신봉동이 설치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가 있으며, LG빌리지, GS자이, 아이파크효성화운트빌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2020년 8월 기준 인구는 38,247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구갈동
    구갈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중동, 서쪽으로 신갈동 등과 접하고 신갈천이 흐르며 북쪽에 산이 위치, 조선시대 구흥면 지역으로 1914년 구갈리라는 명칭을 얻었고 기흥역을 통해 분당선, 용인 경전철과 연결, 국도 42호선과 영동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신봉동 (용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행정복지센터
신봉동행정복지센터
한자표기新鳳洞
영문표기Sinbong-dong
면적6.7
인구38,014 (2022년 2월)
법정동신봉동
33
357
동주민센터경기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215
홈페이지신봉동행정복지센터

2. 역사

2. 1. 지명 유래

신봉동은 본래 용인군 수진면(水眞面) 지역으로 고려시대 용구현(龍駒縣), 조선시대 태종 13년 용인현(龍仁縣)에 속했다.[1]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리(新里)와 서봉동(棲鳳洞)이 합쳐져 신봉리가 되었는데, 신리의 '신'자와 서봉동의 '봉'자를 따서 지어졌다.[1] 신리는 현재의 신촌과 홍천말 일대로, 광교산 아래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새 신(新) 자가 붙여졌다.[1]

서봉동은 광교산의 다른 이름인 서봉산(棲鳳山)에서 유래한 것으로, 서봉산에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의 서봉골이다.[1] 과거에는 시봉굴(웃 시봉굴, 아래 시봉굴)이라 불렸는데, 이는 서봉골의 사투리이다.[1] 서봉산은 본래 광악산(光嶽山)이었으나 928년 태조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평정하고 광악산 행궁에 머물 때 산 정상에서 광채가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부처가 가르침을 내리는 산이라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혹은 봉황이 깃들었던 곳이라 하여 서봉(棲鳳)이라 불렸다고도 한다.[1]

마을 서쪽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후 조선시대 임진왜란병자호란 당시 소실된 1만6097m2 규모의 서봉사지(瑞峯寺址, 또는 瑞鳳寺址)가 있었다.[1] 신봉동에는 서봉사(瑞峯寺), 창성사(彰聖寺) 등 89개의 암자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라도순찰사 이광이 이끄는 삼남근왕병과 일본군 총수 우키다 히데이에 기병 간의 접전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1] 당시 절에서 떠내려 오는 쌀뜨물이 10리나 흘러내려 우키다 히데이에의 왜군들이 쌀뜨물을 따라 산으로 올라가 절을 모두 불태웠다고 한다.[1]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시기 이지명(李知命)이 찬하고 유공권(柳公權)이 서한 현오국사탑비명(玄悟國師碑銘)이 서봉사(瑞峯寺)에 있다는 기록이 있어, 현재의 신봉동 일대가 용인현에 속했음을 알 수 있다.[1] 『해동지도』와 『여지도』에는 광교산(光嶠山) 옆에 서봉산(瑞峯山)이 명칭만으로 기록되어 봉황과의 관련성을 찾기 어려우나, 『1872년지방지도』에서 처음으로 '깃들 서(棲)'자와 '봉황 봉(鳳)'자를 쓰는 서봉산(棲鳳山)이 확인되며, 『1899년 용인군 지도읍지』에서도 서봉산(棲鳳山)이 명기되어 있어 이 시기에 현재의 '서봉(棲鳳)'이라는 한자 명칭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1]

신봉마을은 신봉리에서 가장 큰 동네이자 첫째 동네라는 의미를 지닌다.[1] 마을 안에는 중말, 양지말, 홍천말이라는 작은 동네가 있었는데, 과거 중말과 양지말은 신월(新月)이라는 행정명으로 불렸고, 홍천말은 따로 떨어져 있다가 나중에 신월과 합쳐지면서 신봉이 되었다.[1] 홍천말(洪川村)은 구한말 남양 홍씨가 대성을 이루고 살았다 하여 유래된 것으로, 마을 가운데 있는 커다란 느티나무를 경계로 상·하 홍천말이 구분되었다.[1]

2. 2. 연혁


  • 고려 명종 2년(1172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었고, 용구현은 광주목에 속했다.
  • 조선 태종 13년(1413년) 용인현 수진면(水眞面)에 속했다.
  • 1895년 용인군 수진면 신리, 서봉동이었다.
  • 1914년 신리(新里)와 서봉동(棲鳳洞)을 합쳐 신봉리(新奉里)가 되었다.
  •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면서 신봉동(新奉洞)이 되었다.
  • 2005년 10월 31일 수지출장소가 수지구청으로 승격되면서, 행정동 신봉동이 설치되었다.
  • 2005년 11월 1일 동사무소가 개소하였다.

3. 인구

2020년 8월 기준으로 신봉동의 인구는 38,247명(내국인)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3.7%이다.[3][4] 성별 인구는 남자 18,497명, 여자 19,550명이며 외국인은 93명이다.[3] 연령별 인구 구조는 유소년(0~14세) 인구 비율이 17.4%, 노인(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3.6%이다.[3] 신봉동의 유소년(15세 미만)인구 비율은 용인 전체 비율인 16.1%보다 높고 노인(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용인 전체 비율인 12.2%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청장년 인구비율이 낮다.[3]

섬네일

4. 교육 기관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의 교육기관은 경기도 용인교육지원청 관할이다.

5. 문화재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대한민국 보물 제9호이다.[5]

6. 아파트

신봉동에는 LG빌리지, GS자이, 아이파크효성화운트빌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
신봉 LG빌리지 5차LG건설㈜한독건설신봉1로 112-22002년 8월
신봉자이 1차한국토지신탁㈜신봉2로 262004년 2월
신봉자이 2차elevendnc.co.kr영어|일레븐건설㈜신봉2로 722005년 8월
신봉자이 3차GS건설www.idsd.co.kr영어|디에스디삼호㈜신봉1로71번길 252007년 3월
서홍마을 4단지 아이파크효성화운트빌㈜효성, 현대산업개발신봉1로 282004년 1월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2] 웹사이트 신봉동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2018-09-29
[3] 웹사이트 용인시 월별주요지표 https://www.yongin.g[...]
[4] 웹사이트 용인시 월별통계 https://www.yongin.g[...]
[5] 웹사이트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https://gjicp.ggcf.k[...] 1963-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